더 쾌적하고 실용적인 한국식 화장실(욕실)을 찾아서~~

Posted by

직접 살기 위한 목조주택을 지으면서, 화장실에 대한 고민을 가장 많이 했던 것 같습니다. 기존의 한국의 아파트의 화장실 문화에 문제가 있다고도 생각해 왔었습니다. 지금까지 고민해 왔던 부분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image

 

나라마다 주택의 구조와 형태가 다 다른데, 특히 주방과 화장실이 문화의 차이, 환경의 차이 등에 따라 다른 것 같습니다.

주택의 화장실의 경우엔, 우리 입장에선, 크게, 일본식 화장실 문화와 미국식 화장실 문화, 그리고 한국식 화장실로 나눠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일본식 화장실:
-좌식 입욕 문화. 욕조, 습식.
-바닥/벽체/천장 전체 방수,
-통상, 입욕실과 토일렛/세면대 분리, 세탁기도 입욕실에 통합 하기도.
-플러밍 시공,
-변기와 세면대를 건식 공간에 설치,
-목조주택 기본

 

미국식 화장실:
-입식 입욕 문화. 샤워부스, 건식.
-샤워실이나 욕조만 방수처리, 그 외 공간 모두 건식,
-플러밍 시공.
-목조주택 기본

 

한국식 화장실:
-주로 입식 입욕문화, 욕조, 습식,
-바닥/벽체/천장 전체 방수, 통상, 입욕.토일렛,세면대 한곳에 구성(변기를 습식 공간에 설치),
-콘크리트 주택 기본

 

이렇게 한미일 3국의 화장실 문화가 다른데, 시공방법에서부터 차이가 나게 됩니다. 특히, "방수시공"의 방법과 방수시공의 범위가 다릅니다.

한국식 화장실은 공통적으로 화장실 전체에 대한 "방수시공"을 필요로 합니다. 그리고 화장실의 방수를 책임지는 시공자는 FRP나 우레탄, 또는 아스팔트 방수시공 전문가 또는 타일 미장공이 방수시공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에 반해서, 미국식,일본식 화장실은 통상적으로 별도의 "방수시공"을 하지 않습니다. 그 대신, 방수가 필요한 곳은 공장에서 제작된 샤워tub이나 욕조, 벽면 판넬 등의 전용 fixture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시공은 "미장공"이 아닌 "배관공"이 대부분의 시공을 책임집니다.

즉, 통상적으로 한국식 화장실은 반드시 바닥방수시공을 하지만, 미국식,일본식 화장실은 바닥 방수시공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방수시공 하면 더 좋겠는데.. 왜 미국,일본식 화장실은 대체로 바닥방수시공을 안할까요? 일본사람들은 변기 넘치는 일 없고, 깨끗하게 물뿌려가며 청소하는걸 싫어하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아마도, 우리가 대부분 경험해 봤듯이, "하자발생 가망성" 때문이라고 보여집니다. 그래서, 우리보다 현대화된 목조주택 건축경험이 50년~100년 정도 앞선 미국, 일본의 주택들이 전반적으로 욕실 바닥 방수시공을 대체로 안하는 것 같습니다.

변기의 배치에 있어서도, 우리나라만이 통상 변기를 “습식구역”에 배치합니다. 아마도 변기의 물청소 등을 염두에 둔 선호라고 생각됩니다.

clip_image002
전형적인 한국식 화장실의 배치와 사이즈. 가장 대표적인 사이즈는 1600 x 2200 입니다. 대체로 욕조 샤워시 샤워커튼도 잘 사용 안하기에 샤워 후 세면기와 변기쪽 바닥에 물이 많이 튀고 사용이 불편해 지게 됩니다.

이렇게, 변기와 세면대 공간을 습식 구역화 하는 것에 대해 좀더 깊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변기와 세면대 공간은 물청소 할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분들이 건조하게 유지되는 상황을 훨씬 청결하고 쾌적하게 느끼기 때문입니다.

습식 공간은 건식공간에 방수성능만을 부여한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 잃게 되는 것들이 많다고 생각됩니다.

 

한국식 습식 화장실의단점

.비용상승: 화장실 공간 전체에 대한 방수시공과 타일공사, 바닥 구배/미장 시공등으로 건축비가 상승합니다.

.하자발생 가망성: FRP나 우레탄, 아스팔트 방수 등의 방수시공이 여전히 향 후 하자발생 가망성이 높습니다.

.난방쾌적성: 방수를 위해 바닥 레벨을 낮추거나 단차를 두어야만 하고, 바닥난방 온수코일을 깔지만, 방열 열량이 적어 대체로 춥게 됩니다.
.수명: 한국식 주택에서 가장 수명주기가 짧은 공간이 화장실입니다. 습식 공간이어서 빠르게 노후되기 때문입니다.

.위생,청결성: 습식화장실은 “물청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오히려 이점이 계속 사용하다 보면, 물때(스테인), 곰팡이, 위생해충(물이 있는 곳에만 바퀴벌레가 있죠)의 발생빈도를 더 높입니다. 실제로, 2~3년 사용한 건식 화장실과 습식 화장실은 대체로 습식 화장실의 청결성이 더 떨어지는 사례를 많이 경험하였습니다.

 

[일본식 화장실]
image
전형적인 일본식? 화장실은 욕실을 바닥방수까지 되는 일체형 시스템바스로 시공하고, 세면대와 변기는 욕실 바깥공간(건식)으로 배치하는 구성입니다.
image
일본식 욕실(시스템바스). 욕조,수전,바닥,벽체,도어까지 모두 공장에서 양산되는 제품화된 시스템입니다.

image
정밀하게 규격화된 욕실이라 바닥 물구배가 있어도 도어와 바닥 단차가 거의 없습니다. 또한 바닥이 원피스로 되어 있어 방수가 깨질 가망성이 매우 적습니다.
image
노인들을 위한 공간배치와 핸드레일 등 실버세대를 위한 서포트가 규격화 되어 있어, 과학적이고 편리합니다.

image
욕실의자의 높이가 우리나라에서 파는 것보다 높고,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평균신장이 커졌기 때문이 아니고, 높은 의자가 노인분들 이용시 훨씬 수월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미국과 일본의 노인용 규격들은 대부분 앉는 높이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image
욕실 사이즈가 정해져 있습니다. 대체로 1416 ~ 1620 사이즈가 보편적입니다. 앞에 두자리 숫자가 욕조의 길이입니다. 그러므로 1620이면, 욕조길이 160cm 입니다. 통상 욕조가 75~80cm 이고 샤워시에도 그정도 폭이 필요하므로 적어도 1616이나 1618 사이즈가 최적의 사이즈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clip_image006
일본식 욕실의 욕조는 욕조 그 자체 기능에 특화되어 있기에, 욕조 안에서의 서서 하는 샤워는 대체로 고려하지 않는 구조입니다.

 

clip_image007
샤워는 욕조밖 공간에서 합니다. 샤워를 주로 하는 경우라면, 미국식에 비해 불편한 부분들이 있습니다. 도어와 타월걸이에 물이튀는 것이 신경 쓰일 수있고, 욕조와 벽체로도 불필요하게 물이 튀게 됩니다. 때문에, 이런 구조에서는 자연스럽게 목욕탕에서처럼 쭈그리고 앉아 얌전히? 샤워할 수 밖에 없는 구조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clip_image009
욕실만을 규격화된 습식 공간으로 구성하고, 세면대와 변기공간은 건식공간으로 구성합니다. 일본의 경우에도 세면대 공간과 수납을 최대한 확보하는 트렌드가 있습니다. 세면대가 손과 얼굴을 씻는 목적과 함께, 화장, 머리말리기 등 점점 이용목적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imageimage
image
욕실과 세탁기를 붙여 놓는 배치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국식?으로 다용도실에 세탁기를 배치하는 것보다 생활 동선에서 유리한 점이 많다고 생각됩니다.

 

일본식 화장실의 단점

. 욕조와 샤워공간을 따로 구성하고, 건실과 습식을 나눈 구조이기에 미국식,한국식 보다도 오히려 공간이 많이 필요합니다.

. 시스템바스 도입 금액이 매우 고가입니다(국내에서 시공시 약 1천만원 이상)

. 욕실 바닥에 경량자재를 사용하여 물튀는 소음이 있고, 바닥 울렁임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타일마감에 비해 질감과 감촉?이 저렴하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입식 샤워를 주로 하는 경우에 불편함이 있고, 낭비되는 공간이 많습니다.

. 대부분의 시스템바스가 목조주택용으로 콘크리트 주택에는 적용이 어렵습니다.

 

[미국식 화장실]

미국식 화장실은, 한마디로 “습식공간이 없다”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그럼 샤워나 욕조는? 샤워부스나 욕조(bath tub) 그 자체의 모듈만이 습식공간으로 규정되고, 방수처리하고, 샤워공간 이외의 공간은 모두 건식 공간으로 구성됩니다. 그리고, 타일시공을 안하는 것은 아니지만, 필수는 아닙니다. 미국 주택의 80%가 목조주택인데, 목조주택에서의 타일시공은 시공 후에도 목조골조가 조금씩 움직이면서 타일이 떨어져나가는 하자 발생 가망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imageimage
전형적인 미국식 bath. 욕조와 샤워월판넬로 방수를 책임지고, 그 외 공간(마루바닥과 파란색 벽)은 비방수 건식 공간입니다. 즉, 미국식은 딱 목욕하는 공간만 방수, 나머지 세면대와 변기는 실내 다른 공간과 다를 바 없이 마감하는 형태입니다.

image
가장 흔한 형태는 바닥은 욕조나 원피스 샤워바닥판, 그리고 3면 벽체 모듈을 연결하여 샤워나 bathtub 공간을 구성합니다. 각각의 연결부위는 물이 새지 않도록 맞물리는 스커트가 있어 틈으로 물이 새지 않습니다.

image

샤워실 내부의 벽면의 경우, 물이 가압이 되는 정도는 아니므로 방수 석고보드 위에 타일 시공 정도로도 시공합니다.

 

image
미국식 알코브욕조는 한국에서 판매되는 보통의 욕조와 달리 벽면쪽에 물받이 날개가 있습니다. 벽면 벽체나 타일 마감시 이 날개 안쪽으로 마감시공을 하기 때문에 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안전하게 욕조안쪽으로 흘러내리게 됩니다.

 

image
샤워실 바닥을 “Shower Recepter”라고 부릅니다. 원피스로 추가 방수시공이 필요없고, 아래쪽에 하수 배관만 연결하면 되는 거지용.

image
tile redi사의 Shower Recepter. 보통의 샤워 리셉터는 ABS사출 플라스틱이기에 바닥이 울리고 물떨어지는 소리가 나는 단점이 있죠. 타일레디사의 샤워리셉터는 이 위에 모양대로 타일을 잘라 에폭시본드로 붙여 마감하는 제품입니다. 샤워소음이 없고, 솔리드한 바닥이면서도 방수문제와 물구배 처리를 완벽하게 할 수 있는 제품이죠.

image
이렇게 샤워실이 통채로 원피스 구조로 된 샤워모듈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image
샤워실도 있어야 하고, 욕조도 필요한데, 둘다 배치할 공간은 없다면, 욕조와 샤워실을 겸해 사용할 수 있도록 위와 같이 욕조+샤워월+샤워도어로 구성합니다. 이런 목적을 겸하기 위해서인지, 미국식 욕조는 일본식 욕조보다 깊이가 얕습니다. 다만, 아무래도 이런 구성이 독립형 샤워부스나 욕조보다 사용이 편리하진 않겠죠.

 

미국식 화장실의 단점

. 욕조문화에 대체로 불편합니다. 욕조가 있더라도 일본식처럼 사방으로 물튀기는 사용이 조심스럽습니다.

. 미국식 사이즈 규격에 집을 맞춰야 합니다. 예를들어, 욕조는 60인치 길이가 일반적.

. 목조주택이라도 한국식으로 바닥난방과 몰탈 타설을 하는 경우, 미국식 욕조와 배관설치를 사전에 충분히 고려해야만 한다.하수구 위치, 바닥 높이, 배관 사전 매설 등.

 

[한국식 화장실 2.0]

기존의 한국식 화장실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일본식과 미국식 욕실을 참조할 때, 한국문화에 적합한 화장실은 어떤 방식일까 고민해 봤습니다.

 

편리성, 시공비용, 자재가격 등을 모두 고려해 볼 때, 한국문화에 적합한 욕실은 일본식보다는 거의 미국식에 가깝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일본식 시스템바스 욕실은 현재로서는 너무 비쌉니다.

 

제가 생각하는 미국식에 가까운 한국식 욕실은,

1. 알코브 욕조 또는 샤워리셉터클

2. 슬라이드식 강화유리도어

입니다.

 

미국식 알코브 욕조 또는 샤워리셉터클의 사용으로 바닥 방수 시공 없이도 방수문제 해결이 가능하고, 한국식? 목욕문화에서는 샤워커튼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 샤워도어를 기본화 하여야만 한다고 생각됩니다.

 

이렇게 구성하는 미국식 욕실은 한국식 욕실보다도 기본 시공비용이 욕실당 100~200만원 덜 들어갑니다. 이렇게 절감한 비용을 마감재의 고급화와 욕실 수전,자재의 고급화에 더 투자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우측은 샤워실과 변기, 좌측은 세면대 구성으로 했었습니다. 한정된 공간에서 식구들이 같이 쓰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려는 목적이 있었습니다.
저희 집의 경우엔 위에 적은 한국식 화장실 2.0 대로 하진 않고 바닥방수도 다 하고, 타일시공도 많이 했지만, 언젠가 집을 새로 또 지을 기회가 생긴다면, 바닥방수와 타일시공을 과감히 포기하고 싶습니다.

 

clip_image014

우리집 2층 화장실 관련 추가 내용.

http://blog.naver.com/joonnoh1/140155095808

One comment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