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현대 아슬란 시승행사가 있었습니다.
아슬란은, 그랜저HG를 베이스로 좀 더 고급화한 4천만원대 FF 세단 입니다.
4천만원대 가격에 구입 가능한 세단 차량은 어떤 차량이 있을까요?
우선, BMW 320i 가 4730만원 입니다. 폭스바겐CC TFSI는 4440만원. 벤츠 C200이 4860만원, 아우디 A4는 4천만원대 모델이 없군요. 이들 독일브랜드 차량들은 아슬란보다 전장이 30cm 이상 작은 체급이 분명하게 한단계 아래 차종입니다.
그럼, 가격 말고, 차량의 체급과 구동방식이 비슷한 모델을 한번 볼까요?
아슬란과 가장 유사한 차량은 렉서스 ES350 입니다. 그리고, 5900만원에 판매되었던 아우디 A6 TFSI 2.0 도 비슷한 크기와 비슷한 실내공간을 제공하는 차량입니다. 렉서스 ES350 수프림 모델과 비교시 1000만원 정도의 가격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SM 등의 안정장치가 거의 아슬란과 동일하게 들어간 렉서스 ES350 Executive는 6370만원으로, 가격차이가 1630만원까지 벌어지게 됩니다. 그래도 아슬란에만 장착되는 안전옵션이 더 많습니다.
아우디 A6 와 비교시, 0-100km/h 등의 수치적 성능은 아슬란이 앞설 것으로 예상되나 실용구간에서의 드라이빙 필링은 아우디 A6가 훨씬 경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내 공간은 아슬란과 아우디 A6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우디 A6도 독일 3사 브랜드 중대형 세단 중 가장 넓은 실내공간을 자랑하니까요.
폭스바겐CC(4400만원)와 같은 가격에 아슬란은 3.0 모던 풀옵션 (4390만원)과 동일한데, 폭스바겐CC의 경우 가격 할인이 어느정도 더 있음을 감안해야 합니다만 3990만원의 아슬란 모던 베이스모델도 HUD, 통풍시트 등 CC보다 옵션 사양이 더 화려합니다.
즉, 아슬란은 3000만원대의 그랜저HG와 5천만원대의 제네시스 G330 사이의 4천만원대 가격으로 포지셔닝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의외로 4천만원대 가격의 세단 시장이 비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동급 크기의 독일브랜드 수입차량은 모두 5천만원대로 몰려 있어 제네시스와 경쟁관계이고, 4천만원대 수입차는 현재 마땅한 차량이 없는 것이지요.
이런 시장 환경 하에서, 저는 렉서스 ES350을 기준으로, 아슬란이 어떤 성능과 품질을 제공하는지를 중점적으로 확인했습니다.
[주행성능]
주행성능은, 그랜저HG와 동일하고, ES350과도 동일합니다. 3300cc 294마력의 엔진은 1700kg의 아슬란을 여유롭게, 또는 날렵하게 움직이기에 매우 충분한 출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운전자는 차량이 경쾌하다는 느낌을 받지는 못합니다. 이런 감성성능의 부족함은 렉서스 ES350 이나 벤츠 E300에서도 동일한데, 가장 큰 이유는 엔진이 아닌 미션의 응답성과 성능이 아직 독일브랜드 차량의 미션 성능에 못미치지며, 전륜쪽 중량이 과도하여 전륜쪽 서스펜션의 운동성능이 가볍지 못하고 출렁임이 있을 수 밖에 없는 6기통 FF차량의 구조적 한계라고 생각됩니다.
전반적으로 ES350보다 17마력 높지만 60kg이 무겁고, 토크는 35kg으로 같지만, 최대토크 발생rpm은 렉서스가 더 낮기에, 종합적인 성능과 실제 필링도 거의 동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동성능은, 일상적 상황에서 적당한 답력에도 쉽게 멈춥니다. 벤츠보다는 민감하고, 아우디보다는 둔합니다. 급제동 성능은 실제 테스트하지 못했습니다만, 스팩을 볼 때, 전륜 1피스톤 캘리퍼에 17인치 디스크로 렉서스 ES350(16인치 디스크)과 비슷한, 평이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6기통 FF 세단이 가지고 있는 장점(정숙성)과 단점(중량밸런스문제로 인한 둔함)을 모두 가지고 있어, 동일한 프로파일의 ES350과 더 좋은 점도 없고 더 나쁜 점도 없는 수준. 다만, 개인적으로는, 다운사이징의 세계적 추세도 있고, 전륜쪽 무게를 100kg 이상 줄일 수 있는 4기통 터보엔진이 탑재된 VW CC 같은 차량이 운전하는 재미는 훨씬 좋네요.. 2.0 TGDI 엔진과 8단 미션, 그리고 ISG까지 탑재하는 최신 유행을 한번 시도해 보면 어떨지? 이미 현대차도 다 가지고 있는 솔루션들이니까요..
연비는 공인연비 기준 아슬란 330이 ES350보다 6% 떨어지는 수준입니다. 좀 더 좋았으면 하는 아쉬움은 있지만, 이정도 무게와 이정도 출력의 차량의 공인연비로서 평범한 수준입니다. 거의 동일한 그랜저HG보다 7%쯤 연비가 떨어지는 이유는 조금더 늘어난 중량과 타이어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이중 접합 차음유리 등의 채용으로 주행 소음은, 렉서스ES350보다 더 정숙한 것 같습니다. 그래도 ES300H처럼 저속에서 아얘 아무소리도 안나는 정도는 아니고요. 아무튼, 개솔린 세단으로서는 이보다 더 정숙한 차량은 없을 듯 싶습니다.
다만, 이렇게 정숙해 지다 보니, 상대적으로 작동하는 인간의 귀는, 가장 소음이 적은 타이어가 장착되었음에도, 타이어 노면 소음이 좀 더 크게 들려오고, 주행 중 자질구레한 실내의 잡소리에 더 신경이 쓰이게 되는 경향이 있더군요.
[Exterior]
외관 디자인은, 개인적 취향의 영역.. 그랜저HG에 비해 훨씬 맘에 드는 디자인 입니다. 측면디자인은 그랜져HG와 다를 바 없고, 전면은 신형 소나타와 비슷하고, 뒷면은 제네시스를 닮았습니다. 소나타의 앞모습과 제네시스의 뒷모습 모두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디자인이어서 다행입니다. 다만, 전면 디자인은 신형 소나타와 너무 닮아 고급차로서의 차별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겠습니다.
아슬란 G300의 타이어는 18인치 금호 마제스티 솔루스 타이어. 한국타이어 S2노블 타이어와 함께 주행소음이 가장 적은 타이어이죠.
트렁크공간도 HG와 동일. 트렁크 정리함은 순정 제공. 골프백 4개가 들어가는 크기로서 성인 4명이 편하게 골프치러 갈 수 있는 가장 저렴한(?) 차량 중 하나입니다.
[Interior]
스티어링휠은 신형 제네시스와 소나타와 비슷한 모양. 개인적으로 예전보다 맘에 드는 디자인이고, 스위치의 소프트한 감촉도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그랜져HG까지의 태권V얼굴형상의 센터페이시아 디자인을 너무 싫어해서, 제네시스 이후 소나타, 아슬란의 센터페이시아 디자인은 정말 환영합니다!
열선/통풍시트 스위치와 열선 스티어링 휠 스위치를 한데 모아놨습니다.
도어 디자인이 HG와 동일하고, 그러다 보니, HG의 디자인 컨셉인 Fluidic한 “흘러날으는 디자인”의 도어가 Fluidic 컨셉을 버린 대쉬보드 디자인과 연결되면서 이질감을 느끼게 합니다. 도어 디자인도 완전히 새로 했어야 했다고 생각됩니다.
반가운 기능 #1 전좌석의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뒷자리에 아이들이 탔을 때 훨씬 편합니다.
반가운 기능 #2 아슬란의 AUTO에어컨 공조시스템은, 기존의 AUTO공조장치는 Dafault로 항상 외기유입모드를 유지하던 것에서, 실내 CO2센서를 추가하여, 실내 CO2 농도가 1000ppm 이상이 될 때에만 외기유입 환기를 시킵니다. 이러한 기능은, 특히 우리나라의 운전자들이 AUTO모드가 항상 외기유입을 시키는 것을 싫어하고, 그래서 AUTO모드를 OFF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개선된 공조장치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에어컨 필터도 제네시스와 같이 카본필터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각종 스위치류의 작동감도 HG보다 향상되어 고급스러워 졌지만, 제네시스보다는 한단계 아래수준입니다. HG와 제네시스 사이에서 HG쪽에 좀 더 가깝습니다.
종합적으로 제가 가장 기대했던, 아슬란의 인테리어 품질은 렉서스 ES350 수준에 못미칩니다. 1500만원가량 저렴한 차량과 비교해서 어떻게 그것이 가능하냐하고 할 수도 있겠지만, 현대자동차라면, 그정도 갭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었습니다.
제가 시승한 차량은 G300 모델로 G330모델엔 프리미엄 나파가죽과 알칸테라 인테리어로 한단계 더 고급스럽다고 합니다만,
이렇게 핸들뒤쪽 케이싱의 완벽해 보이지 못하는 케이싱 마감 디자인 같은 아쉬운 요소들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개방감 높은 파노라마 선루프와 선루프 탑재에도 뒷좌석 헤드룸 여유를 확보한 디자인으로 옵션가격 120만원이면 아주 저렴하고 꼭 선택해야 할 옵션이라고 생각됩니다.
FF 대형 세단의 최대 장점인 광활하게 넓은 뒷좌석 공간. 실내 거주성과 여유는 상급의 제네시스와 동일하고, 독일 프리미엄 중대형 세단보다는 오히려 좋습니다.
헤드레스트 장착아답터와 행거, 스토리지백, 태블릿 거치대 등이 TUIX옵션으로 제공됩니다. 그라나, 이 옵션의 품질이 좋지 않습니다. 시승차의 소프트백 거치대의 조인트부분은 이미 망가져 있었고, 이 옵션 장착시 주행시에 자질구레한 잡소리를 발생시키더군요.. 현대차는 이들 옵션의 개선 또는 판매 중단을 시급히 고민해야 할 것 같습니다.
렉서스ES350보다 확실히 앞서는 옵션은 블루링크2.0과 내비게이션. 많이 쓸만해 졌고, 순정 옵션 중에선, 블루링크2.0 이 수입차들이 제공해 줄 수 없는 차별화 포인트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렉시콘 프리미엄 사운드 옵션은, 옵션 가격(80만원)에 비해서는 엄청 좋은 사운드를 제공합니다. 애프터마켓에서 300만원이상 들어야 할 수준의 사운드입니다만, 렉서스의 마크레빈슨 사운드 옵션에 비해서는 감성적으로나, 실질적으로나 밀립니다.
[총평]
부드러운 주행감, 실내 정숙성, 넓은 실내 공간과 트렁크공간 등의 장점은 다른 4천만원대 세단과 비교해서 확실한 장점이지만, 아슬란보다 700만원 가량 저렴한 그랜저HG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장점입니다. 오히려 아슬란을 보면, 그랜저HG의 가격대비 품질이 새삼스럽게 더 돋보이기까지 합니다.
주행성능은 렉서스 ES350과 비교해서 모자란 부분 없이 완벽하게 동등합니다. ES350과는 여러모로 비교가 되지만, AUDI A6 2.0 TFSI를 종합적으로 더 선호하는 구매자들이 더 많을 것 같습니다.
그랜저HG에 비해 실내품질과 제공 옵션이 한단계 향상되었지만, 렉서스 ES350이나 제네시스 보다는 한단계 낮은 인테리어 품질입니다.
렉서스 ES350의 경우, 토요타 아발론보다 인테리어가 고급스럽고, 더 비싼 후륜구동의 GS350과 동일한 인테리어 품질을 제공하는데 반해서, 아슬란은 동일 크기의 그랜저 HG보다 인테리어 품질이 더 좋긴 하지만, 제네시스보다는 분명히 차이가 나는 품질입니다.
3000만원대 디젤 수입차나 국산차, 4000만원대 SUV를 소유하고 있던 중, 앞으로는 디젤보다는 조용한 개솔린 차량을 타고 싶다면, 그리고, 스포티한 주행감각 보다는 뒷자리에 타는 아이들이나 부모님을 더 고려해야 한다면, 아슬란은 적절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4000만원대에서 ECS, BSM, FCWS, LDWS, AFLS, ASCC. ASPAS, AVM 등의 최신 첨단 주행 안전장치/주차편의장치를 모두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차량이 ASLAN 입니다.
현실적으로 아슬란이 이보다 천만원 이상 비싼 차량만큼 더 고급스러운 인테리어를 제공하지 않으며, 천오백만원 더 비싼 독일 프리미엄 세단이 주는 안정감과 단단함도 제공하지 않는 것은 분명히 인정해야 합니다. 세상에 공짜는 없지요..